리그 오브 레전드 (롤) 에서 서포터는 바텀 라인에서 원거리 딜러와 협력해 상대와 싸우는 동시에
팀의 전체 운영을 뒷받침 하는 중요한 포지션으로 팀에서 서포터가 제공하는 도움은 단순히 원딜을 보호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서포터는 시야 확보, 전투의 시작(이니시에이팅), 팀원 보호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팀의 승리의 기반을 만들어 냅니다.
서포터는 팀의 조력자로 게임의 흐름을 안정시키고 적의 계획을 방해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서포터가 없는 경우 팀은 상대 정글러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렵게 되고 주요 목표물
(바론, 드래곤 등)을 안전하게 컨트롤 할 수 없게되기 때문에
서포터는 단순히 팀원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넘어서 팀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서포터는 크게 탱커형 서포터와 유틸리티형 서포터로 나뉘어 집니다.
두 유형은 각각의 장단점과 스타일이 있어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탱커형 서포터
탱커 서포터는 높은 체력과 방어력을 기반으로 팀 전투에 전면적인 중심 역할을 합니다.
* 특징
강력한 CC기로 적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높은 내구성을 활용하여 적의 공격을 받아내 팀원을 보호합니다.
또한 한타 이니시에이팅 능력이 뛰어나 전투 시작과 포지셔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장점
로밍과 시야 장악에서 안전성을 제공하며 한타에서 적의 주요 딜러를 견제하는데 유리합니다.
* 대표적인 챔피언: 레오나, 노틸러스, 쓰레쉬, 블리츠크랭크 등
* 플레이 스타일
상대방에게 강하게 압박을 넣으며 원딜과 협력하여 초반부터 우위를 점하고
적의 주요 스킬을 받아내어 아군을 대신해 몸을 내어주는 희생적인 플레이가 요구됩니다.
2. 유틸리티형 서포터
유틸리티 서포터는 원거리 견제와 팀을 보호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 특징
아군을 치료하거나 방어막을 제공하여 생존력을 높이고 적에게 견제를 가해 팀 전투에서 서브 딜러 역할을 수행합니다.
몸은 약하지만 정교한 플레이로 아군을 서포트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장점
원거리에서 안전하게 활동이 가능하며 아군의 생존성을 극대화하여 전투에서 유리한 구도를 형성합니다.
* 대표 챔피언: 잔나, 소라가, 룰루 등
* 플레이 스타일
적의 위협에서 아군을 보호하고 스킬 활용으로 원딜이 안정적으로 적에게 딜을 넣을 수 있도록 도아줍니다.
또한 지속적인 시야 관리를 통하여 움직임을 예측하고 팀의 전략을 지원합니다.
시야 확보와 와드 배치는 게임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서포터는 맵 장악의 핵심 역할을 담당해야 합니다.
* 효울적인 와드 배치 전략
와드 설치는 제한된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략적 배치를 해야 합니다.
1. 핵심 위치
칼날부리와 골렘: 상대 정글러의 위치를 확인하고 로밍 및 갱킹 루트를 차단합니다.
드래곤과 바론 주변: 주요 오브젝트를 확보하거나 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합니다.
2. 타이밍
초반에는 리버 와드로 정글러의 갱킹을 방지하고 중후반에는 적 정글의 주요 경로를 커버해 전략적인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대 시야 지우기
서포터는 렌즈와 핑크와드를 활용하여 적의 시야를 무력화해아 합니다.
1. 렌즈 사용
적이 주로 와드를 설치할 만한 곳을 렌즈를 사용하여 탐색하여 제거하고 팀원들과 함께 적 시야를 무너뜨려 적을 압박합니다.
2. 핑크 와드
핑크와드를 항상 2개씩 구비해야 하며 중요 지역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시야 싸움을 이어가 적의 심리적인 부담을 유도하도록 합니다.
* 서포터 위치 감추기
적이 서포터의 위치를 모르도록 부시 플레이를 활용하는 것이 게임에서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적은 서포터가 보이지 않을 때 심리적으로 위축되기 때문에 부쉬에서 대기하며
기습적인 플레이를 노리거나 적의 포지셔닝을 강제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서포터는 단순히 보조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게임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포지션이기 때문에 팀과 적절히 협력하고 시야와 와드를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팀 승리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서포터는 게임 초반, 라인전에서 팀이 유리한 흐름을 가져가도록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라인전 단계에서 서포터의 플레이는 단순히 원딜을 보조하는 것을 넘어 적에게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고,
상황에 따라 주도적으로 로밍하여 다른 라인에도 도움을 주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합니다.
1. 포킹(견제) 플레이
포킹형 서포터라면 원거리 스킬과 기본 공격으로 상대 챔피언을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목적: 적 원딜과 서포터의 체력을 소모시켜 라인전 주도권을 잡습니다.
* 스킬 활용
- 스킬 사거리가 길다면 적이 미니언을 타격하려는 타이밍에 견제합니다.
- 견제 후 뒤로 빠져 적의 반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유리한 챔피언: 유틸리티 서포터(잔나, 소라카 등)는
체력을 회복시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적을 견제할 수 있으며
제라스, 럭스와 같은 마법 피해 기반 서포터는 포킹 능력으로 적을 압박하여 유리합니다.
2. 로밍 전략
로밍은 서포터가 바텀 라인을 잠시 떠나 미드나 정글, 심지어 탑 라인에 지원을 가는 전략입니다.
* 언제 로밍을 해야 할까?:
- 원딜이 안전하게 라인을 혼자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일 때.
- 적 원딜과 서포터가 귀환한 상황에서.
* 로밍 경로
- 정글러와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협력하여 주요 부쉬를 거쳐 이동합니다.
- 로밍 시에는 렌즈를 활용해 적의 와드를 제거하며 기습적인 플레이를 노려야 합니다.
* 로밍의 결과
- 미드 라인을 압박하거나 킬을 만들어 내 상대 팀의 운영을 방해합니다.
- 드래곤 컨트롤을 돕는 등의 추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원딜 보호 전략
라인전에서 서포터의 기본 역할 중 하나는 원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입니다.
* 위치 선정
적의 공격에 대비해 원딜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적 스킬을 대신 받아낼 준비를 합니다.
* 적극적인 보호:
- 유틸리티 서포터는 스킬로 실드를 제공하거나 적의 접근을 저지합니다.
- 탱커 서포터는 적극적으로 앞에 서서 적의 공격을 차단합니다.
* 전투 시 TIP
- 적의 주요 스킬이 원딜에게 향할 때, 적절히 위치를 조정해 스킬을 대신 받아냅니다.
- 적 정글러의 갱킹을 예상하며 주요 부쉬에 와드를 설치해 미리 대비합니다.
1. 스펠 체크의 중요성
스펠 체크는 적의 주요 소환사 주문 재사용 대기시간(CD)을 파악해 팀원과 공유하는 전략적 행동입니다.
* 기억해야 할 주요 스펠:
- 점멸(Flash): 300초 (5분): 적의 탈출 수단이므로 사용 타이밍을 기억해 다음 교전에서 활용합니다.
- 텔레포트(Teleport): 360초 (6분): 적 탑 또는 미드 챔피언의 합류 타이밍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회복(Heal): 240초 (4분): 적 원딜이 회복을 사용했다면 재사용 대기시간 동안 교전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스펠 체크 TIP
- 스펠 사용 타이밍을 채팅으로 팀원과 즉시 공유합니다.
- 주요 스펠이 없는 적을 우선적으로 타겟팅합니다.
2. 오더 시스템
서포터는 팀의 전략적 오더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서포터가 적 시야와 아군 위치를 모두 파악하기 쉬운 포지션이기 때문입니다.
* 효과적인 오더의 예
- "적 정글러 바텀 쪽, 라인 밀고 준비."
- "드래곤 30초, 핑크와드 준비."
- "미드 로밍 가능, 원딜 라인 유지."
* 팀원과의 소통 TIP
- 지나치게 명령조가 아닌, 간결하고 명확한 요청을 전달합니다.
- 팀원의 플레이를 존중하며 피드백보다는 격려 위주의 소통을 유지합니다.
서포터의 역할은 단순히 팀을 보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게임의 흐름을 조율하고 승리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서포터로서 팀에 기여할 방법을 고민하며 위 전략을 활용한다면
더 높은 티어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